티스토리 뷰
목차
부가세 신고는 1년에 2번만 하면 끝일까요?
아닙니다. 일부 사업자에겐 ‘예정신고’까지 포함해 연 4회 신고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많은 개인·법인사업자들이 헷갈리는 개념,
**"예정신고와 확정신고의 차이"**를 이 글에서 표로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📅 부가세 신고 주기 요약 (2025년 기준)
과세기간 | 신고 구분 | 신고 시기 |
1기 (1~6월) | 예정신고 | 4월 25일까지 |
1기 (1~6월) | 확정신고 | 7월 25일까지 |
2기 (7~12월) | 예정신고 | 10월 25일까지 |
2기 (7~12월) | 확정신고 |
다음해 1월 25일까지
|
✅ 예정신고가 면제되는 사업자도 있으니 아래에서 확인하세요.
👉 본인이 예정신고 대상인지 확인하려면 로그인 후 신고현황 확인
🧾 예정신고 vs 확정신고 차이
항목 | 예정신고 | 확정신고 |
대상자 | 직전기 납부세액 30만원 초과자 |
모든 부가가치세 과세사업자
|
신고의무 | 일부 간이과세자 제외하고 대부분 의무 | 전 사업자 의무 |
신고시기 | 과세기간 중간 | 과세기간 종료 후 |
신고서 양식 | 간소화 가능 | 일반 양식 사용 |
납부세액 계산 | 단순 추계 가능 |
실제 매출 기준 정산
|
📌 직전기 납부세액이 30만 원 이하인 경우, 예정신고는 면제됩니다.
🙋 이런 분들이 자주 헷갈립니다
- 예정신고 했는데 확정신고 안 한 경우
→ 확정신고는 반드시 별도 진행해야 합니다 - 예정신고 금액을 실매출로 착각한 경우
→ 예정신고는 전기 기준 추계, 정산은 확정신고에서 반영됩니다 - 예정신고 납부만 하고 서류 미제출한 경우
→ 예정신고는 서류 제출도 의무입니다 (납부만으로는 인정되지 않음)
📂 부가세 신고 대상 확인하는 법
- 홈택스 접속
- 로그인 → [신고/납부] → 부가가치세
- ‘예정신고’ 또는 ‘확정신고’ 탭 확인
- 예정신고 대상자가 아닌 경우는 표시됨
모바일 홈택스(손택스)에서도 동일하게 확인 가능
📎 연계 콘텐츠
✅ [2025년 부가세 신고 누락 시 과태료 총정리] 실수하면 최대 5천만 원 벌금!?
부가세 신고, 깜빡하면 정말 위험합니다.단 한 번의 실수로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2025년 1기 확정신고 기한이 다가오고 있는 지금,특히 아
100.sshh-j.com
✅ [2025년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방법] 헷갈리는 서류 총정리
"간이과세자는 신고 안 해도 된다?"아닙니다. 2025년에는 간이과세자도 반드시 신고해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.특히 매출 4,800만 원 이상일 경우 신고 대상이며, 홈택스 신고서류나 절차도 일반과
100.sshh-j.com
✅ [폐업했어도 부가세 신고해야 합니다] 폐업 후 부가세 신고 절차와 과태료 안내
"사업 정리했는데 부가세 신고도 끝난 거 아닌가요?"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시지만, 사실 폐업 신고와 부가세 확정신고는 별개 절차입니다.특히 신고를 하지 않으면 폐업 후에도 과태료가 부
100.sshh-j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