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 

     

   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

     

    "간이과세자는 신고 안 해도 된다?"

    아닙니다.

    2025년에는 간이과세자도 반드시 신고해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.

    특히 매출 4,800만 원 이상일 경우 신고 대상이며, 홈택스 신고서류나 절차도 일반과세자와 일부 다릅니다.
    이 글에서 간이과세자 기준, 신고 대상, 제출 서류, 홈택스 신고 절차까지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.


    🧾 간이과세자 기준 정리 (2025년 최신)

     

    항목 내용
    대상
    연 매출 8,000만 원 미만의 개인사업자
    납부의무 면제 기준
    연 매출 4,800만 원 미만이면 세금 납부 면제
    신고 의무 여부
    매출액 관계없이 반드시 부가세 신고 필요

     

    ✅ 즉, 매출이 적더라도 부가세 신고 자체는 해야 합니다.



    신고 누락 시 과태료가 부과되니,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.

     


    🗂️ 간이과세자 신고에 필요한 서류

   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를 위해서는 다음 서류들을 미리 준비해두세요.

     

     

    구분 준비 항목
    매출 증빙
    세금계산서, 신용카드매출, 현금영수증 내역 등
    비용 증빙 (선택)
    임대료, 인건비, 매입내역 등 지출 자료
    참고 서류
    작년 부가세 신고서, 매출 총액 내역서 등

     

    🔎 특히 카드매출이 있는 경우 POS 매출 데이터도 꼭 확인하세요.

     


     

    🖥️ 홈택스로 신고하는 방법 (모바일 가능)

    ✅ 1단계: 홈택스 로그인

     

    ✅ 2단계: [신고/납부] 메뉴 클릭

    • 메뉴 선택 → 부가가치세 신고 클릭
    • ‘간이과세자’ 선택 후 신고서 작성

    ✅ 3단계: 매출입 항목 기입

    • 매출 총액, 카드·현금 구분 입력
    • 간이과세자이므로 공제 세액 항목은 자동 계산됨

    ✅ 4단계: 신고서 제출 및 납부

    • 신고 완료 후 납부세액 확인
    • 카드납부, 계좌이체, 간편결제 가능

     


    🧩 자주 묻는 질문 정리

    Q. 매출 4,800만 원 이하인데 신고 안 해도 되나요?
    → 신고는 의무입니다. 다만, 납부세액은 면제됩니다.

    Q. 매입 자료 안 넣어도 되나요?
    → 간이과세자는 세액공제가 없으므로 필수는 아님. 그러나 매출 누락 방지를 위해 자료 준비 추천

    Q. 간이과세자도 전자세금계산서 발행하나요?
    → 원칙적으론 의무 아님. 하지만 카드매출·현금영수증 사용 시 자동 수집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