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2025년 부가세 신고

     

    부가세 신고, 깜빡하면 정말 위험합니다.
    단 한 번의 실수로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    2025년 1기 확정신고 기한이 다가오고 있는 지금,
    특히 아래와 같은 상황이라면 반드시 점검해보셔야 합니다.


    ⚠️ 이런 분들은 꼭 확인하세요

    • 부가세 신고 알림을 꺼두고 있다
    • 간이과세자인데 신고 안 해도 되는 줄 알았다
    • 폐업했으니 신고도 끝난 줄 착각했다
    • 홈택스 로그인조차 하지 않고 있다

    실수라도 과태료는 부과됩니다. 신고는 ‘의무’입니다.


     

     

    👉 기한 넘기면 ‘기한 후 신고’로만 가능하며, 가산세가 자동 부과됩니다.


    💸 부가세 신고 안 하면 생기는 과태료

     

    과태료 항목 기준 및 내용
    무신고 가산세 공급가액 × 10%
    과소신고 가산세
    과소금액 × 10~40%
    납부불이행 가산세
    미납세액 × 3% + 지연이자
    부정 신고 가산세
    허위·고의 신고 시 최대 40%

     

    예: 공급가액 1억 원 신고 누락 시 → 최대 4천만 원 가산세 가능


    🛠️ 신고 누락 시 이렇게 해결하세요

    ✅ 1. 홈택스 ‘기한 후 신고’ 사용

    • [홈택스 > 신고/납부 > 부가가치세 > 기한 후 신고]
    • 자진 신고 시 가산세 일부 감면 가능

    ✅ 2. 수정신고 or 경정청구

    • 일부 누락 → 수정신고
    • 세금 과다 납부 → 경정청구 (5년 이내)

    ✅ 3. 국세청 또는 세무사 상담

    • ☎ 국세청: 126 (3번 → 2번)
    • 홈택스 상담도 가능, 단 대기 길 수 있음
    • 세무사 대행 원할 시 아래 서비스 참고


    🚫 실제로 많이 실수하는 3가지

    1. 폐업했다고 부가세 신고도 끝인 줄 앎
      → 폐업 신고와는 별개로 마지막 부가세 확정신고 필요
    2. 간이과세자라서 안 해도 되는 줄 앎
      매출 4,800만 원 초과 시 신고 대상입니다
    3. 신고는 했는데 납부를 깜빡
      → 지연이자 + 납부불이행 가산세 부과

    🔎 지금 바로 점검하세요

    ✅ 홈택스 로그인 → 신고 내역 확인
    ✅ 미신고 확인되면 ‘기한 후 신고’ 진행
    ✅ 어려우면 세무 대행 서비스 활용

    🕑 기한이 지나면 과태료는 줄지 않습니다. 지금 신고해야 합니다.